[2. 공부]/[2.1 코딩]

🔀 Git Rebase와 Merge의 차이점 및 사용 시기

주식경이 2025. 2. 24. 20:32
반응형

🔎 서론

Git을 사용할 때, 여러 브랜치를 병합하는 방법에는 **Merge(병합)**와 **Rebase(리베이스)**가 있습니다. 두 명령어 모두 기능 브랜치를 메인 브랜치(main)에 통합할 때 사용하지만, 동작 방식과 결과가 다릅니다. 잘못 사용하면 협업 시 충돌이나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니 차이점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 글에서는 Git Merge와 Rebase의 차이, 사용법, 각각의 장단점, 그리고 실제 사용 시기를 알려드립니다. 🚀


🌱 1. Git Merge란 무엇인가?

**Merge(병합)**는 두 브랜치를 하나로 합치는 명령어입니다. 브랜치의 변경 사항을 모두 유지하며, **새로운 커밋(Merge Commit)**을 만들어 통합합니다.

📝 Merge 명령어 사용법

git checkout main  # 메인 브랜치로 이동
git merge feature-branch  # 기능 브랜치를 메인에 병합

✅ 병합 후 메인 브랜치에 병합 커밋이 추가됩니다.

📊 Merge의 장점과 단점

장점단점

코드 히스토리가 모든 커밋을 보존하여 이해하기 쉽다. 커밋 로그가 지저분해질 수 있다.
충돌 발생 시 명확한 해결 가능. Merge Commit이 많아질 경우 관리 어려움.
협업 중 각 작업자의 변경사항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. 히스토리가 복잡해질 수 있다.

📈 Merge 예시 (커밋 히스토리)

*   c6 (main)  Merge branch 'feature-branch'
|\  
| * c5 (feature-branch) 작업 완료
| * c4 작업 중
* | c3 이전 커밋
* | c2 이전 커밋
* | c1 초기 커밋

결과: 히스토리가 병합 지점으로 분기되어, 브랜치 작업 기록이 유지됩니다.


🌿 2. Git Rebase란 무엇인가?

**Rebase(리베이스)**는 현재 브랜치를 다른 브랜치 위로 "다시 작성"하여, 히스토리를 일직선으로 만듭니다. 코드 변경 사항은 그대로지만, 커밋 로그가 깔끔해집니다.

📝 Rebase 명령어 사용법

git checkout feature-branch  # 기능 브랜치로 이동
git rebase main  # 메인 브랜치의 최신 커밋 위에 feature-branch 적용

✅ 작업 후 메인 브랜치에 병합하려면:

git checkout main
git merge feature-branch  # Fast-forward 병합 발생

📊 Rebase의 장점과 단점

장점 단점
커밋 히스토리가 깔끔해진다. 커밋을 재작성하므로 충돌 해결이 어려울 수 있다.
Fast-forward 병합으로 불필요한 Merge Commit 방지. 공유된 브랜치에 사용 시 위험 (히스토리 꼬임 가능).
코드 리뷰 시 변경 사항이 더 명확하다. 초보자에게 다소 복잡할 수 있다.

📈 Rebase 예시 (커밋 히스토리)

* c5 (feature-branch) 작업 완료 (Rebase 적용)
* c4 작업 중
* c3 이전 커밋
* c2 이전 커밋
* c1 초기 커밋

결과: 히스토리가 직선으로 정리되어 이해하기 쉽습니다.


🆚 3. Merge와 Rebase 비교 표

항목 Merge Rebase
히스토리 병합 커밋 생성 (분기 유지) 일직선으로 정리 (분기 제거)
커밋 로그 변경사항 모두 보존 깔끔하고 간결함
충돌 발생 시 병합 시점에 발생 커밋마다 발생 가능
추천 상황 협업 중, 커밋 히스토리 보존 시 개인 작업, 히스토리 정리 시
위험 요소 커밋 로그 과다 공유 브랜치에서 사용 시 위험

TIP: 협업 중에는 Merge, 개인 프로젝트에서는 Rebase 사용을 추천합니다.


🚀 4. 언제 Merge와 Rebase를 사용해야 할까?

Merge 사용 시기

  • 팀 프로젝트에서 브랜치 히스토리를 유지하고 싶을 때.
  • 기능이 완료된 후 리뷰와 테스트를 위해 Pull Request를 사용할 때.
  • 다른 팀원의 작업 내역을 보존해야 할 때.

🌿 Rebase 사용 시기

  • 개인 프로젝트에서 커밋 로그를 깔끔하게 유지하고 싶을 때.
  • 브랜치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최신 메인 브랜치 내용을 가져올 때.
  • 코드 리뷰 시 변경 사항만 명확히 표시하고 싶을 때.

주의사항: 협업 브랜치에서 Rebase 사용 시, 다른 팀원에게 알리고 사용하세요.


⚠️ 5. Rebase 사용 시 주의사항과 팁

🚫 Rebase 사용 시 주의할 점

✔️ 공유 브랜치에서는 사용하지 마세요. 이미 Push한 커밋을 Rebase하면 충돌이 발생합니다.
✔️ 충돌 해결 후 git rebase --continue를 사용하세요.
✔️ Rebase 중 문제가 발생하면 git rebase --abort로 중지할 수 있습니다.

💡 실전 팁

git fetch origin  # 최신 원격 브랜치 가져오기
git rebase origin/main  # 로컬 브랜치 최신화

코드 리뷰 전 최신 코드를 적용하면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


📝 결론

Merge와 Rebase는 각각 장단점이 있으며 상황에 맞게 선택해야 합니다. 협업 시에는 히스토리 보존을 위해 Merge를, 개인 작업이나 깔끔한 로그 정리가 필요할 때는 Rebase를 사용하세요. 두 명령어를 잘 이해하면 코드 관리와 협업 능력이 한층 향상됩니다. 💻🚀

👉 다음 글에서는 "Git 충돌 해결 방법과 예시"를 다룹니다.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!


🏷️ 추천 키워드

  1. Git Merge 사용법
  2. Git Rebase 사용법
  3. Merge와 Rebase 차이
  4. Git 협업 전략
  5. 코드 히스토리 관리
  6. Git 충돌 해결 팁
  7. 깔끔한 커밋 로그 유지법
  8. Fast-forward 병합 설명
  9. Git 브랜치 관리
  10. 팀 프로젝트 Git 팁

지금 바로 Merge와 Rebase를 실습하며 이해도를 높여보세요! 🌱💻

반응형